韓 친환경 상용차, 내수 시장 확대…“수입산 대비 경쟁력은 떨어져”
韓 친환경 상용차, 내수 시장 확대…“수입산 대비 경쟁력은 떨어져”
  • 최진희 기자
  • 승인 2021.04.19 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차 수소전기버스 [뉴시스]

최근 국내 상용차 업계는 친환경 상용차 개발을 통해 내수 시장을 확대하고 있지만, 국내 상용차 시장을 중심으로 모델이 개발돼 다양한 해외 수요에 대응하기 힘들고 내수 시장에서도 수입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19일 발간한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친환경 상용차 시장이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 역시 전기 및 수소 상용차 개발을 통해 내수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친환경 버스의 경우 현대자동차가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로 ‘일렉시티’를, 전기차로 ‘카운티 일렉트릭’을 출시해 시내버스 등으로 보급했으며, 자일대우차가 BS110CN 등을 판매 중이다. 트럭 분야에서는 현대차·기아가 소형 전기트럭 ‘포터2 EV’, ‘봉고3 EV’, 대형 수소연료전지 트럭 ‘엑시언트 Fuel Cell’을, 디피코 등은 초소형·경형 전기 트럭 개발·판매하고 있다.

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기업이 개발한 전기버스 대부분은 국내 주행환경 맞춤형으로 제작됐다. 해외 시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장거리 여객용 버스 등은 출시되지 않았다. 트럭 역시 완성차 기업은 1톤 급, 중소·중견기업은 초소형·경형 전기차에만 집중하고 있어 친환경 화물운송용 밴, 중대형 트럭 등의 수요가 높은 주요국으로의 수출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국내 상용차 시장에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산 친환경 상용차까지 수입되고 있어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지리상용차의 2.5톤, 3.5톤 급 전기트럭도 국내 시장에 출시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원은 “글로벌 상용차 시장 2437만대 중 한국 비중은 1.2%로, 세계 상용차 시장의 99.2%가 친환경차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친환경화를 통한 자동차 산업 활력 제고가 가능하다”며 “공공 상용차, 노후 상용차 교체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수요를 확보하고 시장 초기단계인 수소전기 상용차를 중심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수출 시장 개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친환경 상용차 공용 부품의 가격 저감 및 신뢰성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중소·중견기업이 다양한 친환경 상용차 개발에 도전할 수 있도록 연관 업체를 집적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